티스토리 뷰

서울 외곽 신축 아파트 분양권을 계약하며 결국 6억 대출을 실행하게 됐습니다. 부동산 가격이 워낙 올라 이제 웬만한 집 하나 사려면 주담대 6억은 기본이더군요. 이 글에서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6억 원 주택담보대출을 받기까지 과정, 금리 조건, 매달 납입금, 고려해야 할 점을 정리해봤습니다.

주담대 6억, 실제로 받아보니 이렇습니다 (2025년 대출 후기)
주담대 6억, 실제로 받아보니 이렇습니다 (2025년 대출 후기)

1. 주담대 6억, 2025년 금리 기준 조건

2025년 6월 기준, 시중은행 금리는 다음과 같았습니다:

  • 고정금리: 4.2% (국민은행)
  • 상환방식: 30년 원리금균등
  • 대출 실행일: 2025년 6월 중순

이 조건으로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
대출금액 월 상환금 총 이자 부담
6억 원 약 294만 원 약 4.6억 원

2. 왜 고정금리를 선택했을까?

처음엔 변동금리도 고려했습니다. 초기 금리만 보면 더 저렴했기 때문이죠. 하지만 은행 상담 시 이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.

"지금은 금리가 낮지만 30년이면 언젠가 6% 이상으로 오를 가능성도 있습니다."

 

이 말에 마음이 흔들렸고, 결국 심리적 안정감을 위해 고정금리를 선택했습니다.

3. 대출 실행 전 반드시 확인할 것들

  1. DSR 규제: 제 연봉은 약 9천만 원이고, DSR 40% 규제 안에 들어야 6억이 가능합니다.
  2. 중도상환 수수료: 3년 이내 갚으면 최대 1.2%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  3. 기타 비용: 취득세, 등기비, 인지세 등 대출 외 현금 지출이 적지 않습니다.

4. 자주 묻는 질문 정리

Q. 연봉 얼마부터 6억 대출이 가능할까요?

A. 연봉 9천만 원 전후가 기준입니다. 부부 합산 또는 추가 소득 증빙이 있다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
Q. 6억 전액 대출이 가능한가요?

A. 보통 LTV 기준으로 70%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. 일부는 현금으로 준비해야 합니다.

Q. 청년이나 신혼부부도 받을 수 있나요?

A. 가능합니다. 다만 특례보금자리론, 디딤돌 대출 등 정부 상품을 병행해야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5. 무리한 대출보다 중요한 건 상환 가능성

6억 대출,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습니다. 하지만 매달 나가는 294만 원은 결코 가벼운 숫자가 아닙니다. 실행 전엔 꼭 본인의 소득 구조와 장기 계획을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.

참고 사이트

 

 

 
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